탈루 및 흡수원, 초지 면적 확대 및 관리등급 개선
➑ 탈 루
▸ 배출량 변화(백만톤CO 2 eq) : (‘18년) 5.6 → [A안] (‘50년) 0.5
→ [B안] (‘50년) 1.3
□ 탈루 * 는 천연가스 사용 시 발생하는 기타 누출이 대부분으로, 부문별 천연가스 소비 전망을 토대로 0.5(A안)~1.3(B안)백만톤으로 추정
* 석탄, 석유,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이 아닌 채광, 생산, 공정, 정제, 운송, 저장, 유통 과정에서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
➒ 흡수원
▸ 흡수량 변화(백만톤CO 2 eq) : (‘18년) -41.3 → (‘50년) -25.3 * (△38.7%)
* A, B안 동일
확보수단
□ 산림흡수원 및 임업
ㅇ (흡수능력 강화) 숲가꾸기 등 산림순환경영 강화, 생태복원,
재해피해 방지를 통한 흡수원 보전 등
ㅇ (신규 흡수원) 유휴 토지 조림, 도시숲 가꾸기 등 신규조림 확대
ㅇ (고부가가치 목재이용) 목재의 건축자재로 장수명 재료 * 이용등 목재 이용을 통한 탄소저장고 확대
* 탄소를 오랫동안 저장하는 목재제품. 목재는 용도에 따라 탄소 저장기간이 다르므로 (건축용 〉가구용 〉종이) 제품수명이 긴 용도로의 이용을 확대하는 것이 탄소중립에 유리
□ 해양 및 기타
ㅇ 연안 및 내륙습지 신규 조성, 바다숲 조성, 하천수변구역, 댐 홍수터 활용(식생복원), 초지 면적 확대 및 관리등급 개선
정책제언
□ 신규조림, 흡수원 복원 등 탄소 흡수원 확충
ㅇ 미세먼지 차단숲, 도시바람길숲 등 생활권 숲 조성 확대, 블루카본등 산림 外 흡수원 신규 확충 및 이를 위한 인벤토리 마련 등
ㅇ 백두대간 정맥, DMZ 일원 등 핵심 산림생태축과 생활권 주변 훼손지의 생태 경관복원 및 산림보호지역 관리 선진화
□ 산림의 지속성 확보
ㅇ 산림순환경영 활성화를 위해 임도 임업기계 등 경영기반 확충 및산림 내 수종과 연령의 다양성 증대, 산림의 주요기능을 고려한 숲가꾸기 실행으로 산림의 경제적 생태적 가치 증진
ㅇ 스마트 기술 개발로 산림재해 예방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해 예측 예방 역량 강화, 현장 대응 인력 전문성 제고
ㅇ 사유림에서 발생하는 산림의 공익적 가치를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대한 합당한 지원과 보상방안 마련
□ 장수명 목재 이용 확대 등 국산목재 수요 공급의 선순환 체계 구축
ㅇ 공공건축물 목재 이용 촉진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 및 탄소저장량 표시 인증제도 활성화
ㅇ 목재친화도시 조성, 목조 건축 확대를 위한 기술 고도화, 플라스틱 대체 목재제품 개발 및 상용화, 장수명재료이용 확대
□ 해양 생태를 활용한 탄소 흡수원 확충
ㅇ 해양생태계 보호 및 기능유지를 위한 해양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 강화ㅇ 해양 흡수원의 탄소 흡수량 및 통계 산정방식 연구·개발
□ 초지 및 도시지역 녹지 등 흡수원 추가 발굴
ㅇ 초지조성부담금 지원 등을 통한 신규 조성 확대
□ 국가 탄소흡수원 관리를 위한 토지이용변화 측정·보고·검증체계 개선
댓글
댓글 쓰기